관악구 갑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관악구/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관악구 갑>
봉천동, 남현동 등
冠岳區 甲
Gwanak A
파일:국회선거구 관악구 갑.svg
선거인 수242,617명 (2024)
상위 행정구역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관악구 일부
청림동, 성현동, 행운동, 청룡동, 은천동, 중앙동, 인헌동, 남현동, 보라매동, 낙성대동, 신림동[1]
[1] 행정동 신림동(구 신림5동)
신설년도1988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민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전체와 행정동 남현동, 행정동 신림동(구 신림5동)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인구의 40% 이상이 전라도 출신이라 서울에서 가장 민주/진보 성향이 강한 곳 중 하나. 이해찬 의원이 5회 연속으로 당선된 관악구 을이 더 진보 성향이 강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나, 진보 성향의 대선후보 지지율은 이곳이 관악구 을보다 높은 경우가 더 많았다.[1] 이런 인식은 아무래도 같은 지역구에서 5번 맞대결하면서 승패를 주고받은 유기홍vs김성식의 라이벌 구도 때문에 정당 지지율과 별개로 경합지로 보이는 현상 때문이다.[2] 이마저도 김성식이 이길 때는 2천표 내외로 겨우 이겼는데 유기홍이 승리할 때는 1만표, 10% 수준 이상으로 여유있게 승리했기에 그 차이가 뚜렷하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민규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13대한광옥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이상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이훈평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유기홍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김성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유기홍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김성식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유기홍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박민규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4년 5월 30일 ~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우연(金寓淵)21,8293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62%낙선
2임광순(林廣淳)14,4734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02%낙선
3한광옥(韓光玉)51,199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8.99%당선
4이상현(李相賢)37,3902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28.47%낙선
5김봉철(金奉喆)3219위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0.24%낙선
6정혜원(鄭惠元)1,6456위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1.25%낙선
7심덕원(沈德原)7418위

파일:우리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0.56%낙선
8이영희(李英姬)2,2775위
1.73%낙선
9최병순(崔炳順)1,4317위
1.08%낙선
선거인 수182,934투표율
72.35%
투표 수132,356
무효표 수1,050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우연(金寓淵)34,4453위
26.12%낙선
2한광옥(韓光玉)56,0611위
42.51%당선
3이상현(李相賢)38,7432위
29.38%낙선
4정성일(鄭成一)2,5984위
1.97%낙선
선거인 수190.866투표율
69.82%
투표 수133,268
무효표 수1,421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현(李相賢)47,6991위
41.59%당선
2한광옥(韓光玉)43,1972위
37.67%낙선
3김기정(金基禎)5,2895위
4.61%낙선
4이영춘(李迎春)8,3604위
7.29%낙선
5함운경(咸雲炅)10,1233위
8.82%낙선
선거인 수190,207투표율
61.17%
투표 수116,356
무효표 수1,688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식(金成植)30,2062위
29.87%낙선
2이훈평(李訓平)44,4001위
43.91%당선
3이상현(李相賢)17,2893위
17.09%낙선
4김휴열(金休烈)5817위
0.57%낙선
5박용덕(朴龍德)3,1385위
3.10%낙선
6김수복(金洙福)3,8504위
3.80%낙선
7채상현(蔡相鉉)1,6426위
1.62%낙선
선거인 수186,729투표율
54.66%
투표 수102,072
무효표 수966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식(金成植)47,7012위
35.61%낙선
2한거희(韓巨熙)13,3623위
9.98%낙선
3유기홍(柳基洪)62,6941위
46.80%당선
4김웅(金雄)10,1844위
7.60%낙선
선거인 수217,552투표율
62.05%
투표 수134,983
무효표 수1,042
17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한나라당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민주노동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성식한거희유기홍김웅
득표수
(득표율)
47,701
(35.61%)
13,362
(9.98%)
62,694
(46.80%)
10,184
(7.60%)
- 15,263
(▼11.19)
134,982
(62.05%)
봉천본동39.54%10.08%45.75%6.88%▼6.2163.65
봉천1동37.26%9.27%46.94%6.52%▼9.6860.27
봉천2동37.47%11.08%45.32%6.77%▼7.8563.86
봉천3동39.31%9.48%44.55%6.66%▼5.2468.39
봉천4동32.88%10.06%48.55%8.51%▼15.6758.92
봉천5동40.42%9.19%44.08%6.31%▼3.6665.73
봉천6동33.90%9.16%48.10%8.84%▼14.2060.19
봉천7동34.03%8.36%47.74%9.87%▼13.7162.25
봉천8동31.76%12.15%48.95%7.13%▼17.1957.96
봉천9동34.73%10.08%48.07%7.11%▼13.3461.55
봉천10동31.45%13.07%48.90%6.57%17.4558.64
봉천11동34.50%9.27%47.67%8.56%▼13.1761.92
남현동41.18%8.06%44.10%6.66%2.9262.16
신림5동34.62%9.30%48.54%7.55%▼13.9253.96
후보김성식한거희유기홍김웅격차
부재자투표29.36%17.08%43.06%10.50%▼13.70
[1] 흔히들 서울대학교가 신림동(행정동은 대학동)에 속해있어 관악구 을이 진보세가 더 강하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학생들이 살고 주소를 둔 기숙사가 있는곳은 갑 선거구에 속한 낙성대동이다. 캠퍼스 부지가 워낙 넓고 '신림동 고시촌'의 이미지가 강하다보니 나타난 이름과 실제가 다른 현상....[2] 연대 총학생회장 두 명이 6연속 맞붙은 서대문구 갑이 워낙 유명해서 묻히는 감이 있는데, 사실 구도로 보면 이쪽이 더 치열하다. 둘 다 1958년생서울대 77학번 동기인데다가 우상호가 이성헌에 3연승한 서대문과 다르게 여기는 아직까지도 한 쪽이 2연승을 거둔 적이 없다...
유기홍 vs 김성식 Round 1

현역 새천년민주당 이훈평 의원은 자신과 친분이 있는 건설업체 2곳이 현대건설 하도급 공사를 수주할 수 있게 해준 혐의로 구속 수감되면서 '총선시민연대'로부터 낙천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이훈평 의원은 '의정대상을 수상하는 등 성실한 의정활동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재판이 진행중인 사건 때문에 낙천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무죄가 확실하다. 옥중 출마를 하겠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재판부는 징역 1년을 선고했고, 새천년민주당에서는 이훈평 의원을 대신해 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국장이었던 한거희 후보를 공천했다.

한나라당에서는 김성식 후보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출신으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화학노련 정책부장으로 민주화 운동을 하다 투옥되기도 했으며, CBS 시사자키 평론가 등으로도 활동했다. 원래 통합민주당 후보로 서울 동대문구 을 지역에 출마하면서 정치를 시작했으나, 통합민주당이 신한국당과 통합되며 한나라당에 합류했다. 16대 총선에서는 이훈평 의원에게 패했다.

열린우리당유기홍 후보가 나왔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생운동을 하다가 민청련(민주화운동청년연합) 사무국장으로 민주화운동에 헌신했다. 서울대학교 재학시절 봉천동에서 자취를 했다고 한다. 이후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실 정책기획국장으로 발탁되었으나, 2002년 퇴직해 유시민, 문성근 등과 함께 개혁국민정당 창당을 주도했다. 여기서 조직위원장을 맡고 2003년 '신당창당협의기구'의 정책분과 대표로 열린우리당 창당에도 기여하였다. 개혁국민정당 활동을 통해 민주당 구주류의 실세 의원인 이훈평 의원에 대한 정치적 심판을 심판을 요구하기도 했다. 김성식 후보와는 서울대학교 77학번 동기다.

민주노동당김웅 후보가 나와 깨끗한 정치와 평등, 자주를 주장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선거 결과 유기홍 후보가 46.8%의 지지를 얻어 김성식 후보를 누르고 원내에 진출했다.

봉천5동(현 성현동)이 관악드림타운으로 전면 재개발 완료되고 치러진 첫 총선인데 이때부터 관악구 갑 내 가장 보수적인 지역의 흐름을 보이기 시작했다.

2.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기홍(柳基洪)45,3682위
44.04%낙선
2김성식(金成植)48,1331위
46.72%당선
4박명희(朴明熙)2,6544위
2.58%낙선
5성정훈(成政勳)2,0305위
1.97%낙선
6김웅(金雄)4,0723위
3.95%낙선
7송혜건(宋惠虔)7676위
0.74%낙선
선거인 수229,748투표율
45.13%
투표 수103,695
무효표 수671
18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통합민주당한나라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유기홍김성식
득표수
(득표율)
45,368
(44.04%)
48,133
(46.72%)
- 2,765
(▼2.68)
103,695
(45.13%)
봉천본동43.98%47.53%▼3.5546.62
봉천1동41.02%49.43%▼8.4142.91
봉천2동44.36%48.03%▼3.6751.77
봉천3동44.47%47.68%▼3.2153.35
봉천4동48.19%42.49%△5.7039.28
봉천5동43.49%49.51%▼6.0252.08
봉천6동45.30%44.67%△0.6342.27
봉천7동44.66%44.81%▼0.1541.81
봉천8동46.57%44.40%△2.1743.20
봉천9동46.95%45.56%△1.3946.67
봉천10동49.46%42.20%7.2643.10
봉천11동43.76%45.62%▼1.8643.78
남현동39.70%51.64%11.9444.76
신림5동43.10%46.09%▼2.9932.87
후보유기홍김성식격차
부재자투표31.36%51.84%▼20.48
유기홍 vs 김성식 Round 2

현역 통합민주당 유기홍 의원과 한나라당 김성식 후보의 리턴 매치.

김성식 후보는 3번의 낙선 후 4번째로 도전하게 됐다. 17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손학규 경기도지사 아래에서 정무부지사를 역임했으며, 17대 대선에서 한나라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원외 인사였지만 당내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것.

유기홍 의원은 17대 총선에서 당선돼 원내에 진출한 후 국회 교육위원회에 몸담으며 참여정부가 추진하던 4대 개혁 입법 중 하나인 사립학교법 개정 등에 깊이 관여했다. 또 역사 전공자 답게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 저지를 위한 정부출연기관인 동북아역사재단 신설 법안도 대표발의해 통과시켰다.

민주노동당 박명희 후보와 진보신당 김웅 후보도 출마했다. 김웅 후보는 17대 총선에서도 10,000표 이상을 받았던 후보.

접전끝에 김성식 후보가 2,765표 차이로 유기홍 후보를 따돌리고 4번의 도전 끝에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약간 운이 좋기도 했던게, 민주당 표를 갈라먹는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창조한국당 후보가 전부 나오고, 한나라당 표를 갈라먹는 친박연대 후보는 또 안나오는 천운이 겹쳤다[3]. 유기홍 후보는 봉천4동, 봉천6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등에서 이겼으나 다른 지역에서 패하며 재선에 실패했다.

2.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유기홍(柳基洪)63,61%1위
50.12%당선
3김용섭(金龍燮)3,7954위
2.99%낙선
6한광옥(韓光玉)5,2073위
4.10%낙선
7김성식(金成植)52,8082위
41.61%낙선
8한상삼(韓相三)1,5005위
1.18%낙선
선거인 수235,207투표율
54.77%
투표 수128,829
무효표 수1,908
19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민주통합당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유기홍김성식
득표수
(득표율)
63,611
(50.12%)
52,808
(41.61%)
+ 10,803
(△8.51)
128,829
(54.77%)
보라매동50.52%39.79%△10.7352.29
은천동48.37%43.05%△5.3256.33
성현동44.72%48.97%4.2560.49
중앙동52.24%39.15%△13.0951.85
청림동48.45%45.07%△3.3862.24
행운동51.23%41.13%△10.1053.58
청룡동52.34%39.23%△13.1152.23
낙성대동52.82%40.61%△12.2154.60
인헌동50.67%41.93%△8.7453.74
남현동47.99%41.40%△6.5954.86
신림동58.61%31.86%26.7544.02
후보유기홍김성식격차
국외부재자투표62.14%20.48%△41.66
국내부재자투표43.96%39.89%△4.07
[3] 은평구 갑, 동작구 갑 같은 경우는 친박연대 갈라치기로 졌다.
유기홍 vs 김성식 Round 3

봉천본동과 봉천1~11동까지 '봉천' 명칭을 쓰는 행정동이 너무 많아 혼선이 빚어지면서, 그동안 구분하기 어려웠던 '봉천'동들을 모두 새로운 행정동 이름으로 교체하였다. 몇몇 동을 통폐합(봉천본동 + 봉천9동 = 은천동 등등)하긴 하였으나, 기본적인 구역은 기존의 동의 경계를 유지하였다.

김성식 의원은 국회에 입성한 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당내에서는 초선의원 모임 민본21 공동간사를 지내며 중도성향의 소장파로 분류되었다. 당의 혁신을 위해 쇄신파 핵심인 정태근 의원과 함께 당내에서 '신당 창당 수준의 재창당'을 요구하다가 반발에 부딪혔고, 정태근 의원이 탈당을 선언했다. 김성식 의원 역시 "지금 국민의 명령은 한나라당을 근본적으로 혁명하라는 것인데 당이 주저주저하고 있다"며 "전국위원회에서 신당 창당 수준의 재창당을 하는 쪽으로 당헌 개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허허벌판으로 나가 이 낡은 정치판과 부딪히는 정치 의병이 되겠다"고 선언하고 탈당한다.

탈당후 김성식 의원은 이 지역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고, 한나라당은 새누리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정태근, 김성식의 지역구에 공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이는 당선된 후 복당하라는 뜻으로, 이 지역구에 기호 1번이 없게 되었다.

'무소속' 김성식 후보에 대항해 18대 총선에서 낙선했던 민주통합당 유기홍 전 의원이 이번에는 야권단일후보로 나서게 되었다. 이로써 세 번째 대결. 18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후보, 진보신당 후보 등 진보세력의 후보들이 많아 어려웠다면, 이번에는 야권단일후보가 되어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11, 13, 14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바 있는 정통민주당 한광옥 전 의원이 출마하면서 알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김성식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음에도 지난 선거 때보다 4천 표 이상을 더 득표하면서 선전하였으나, 한광옥 후보가 선거 구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야권 성향 유권자가 결집하면서 유기홍 후보가 50.12%를 얻어 이 지역을 탈환하는데 성공한다.

2.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원영섭(元榮燮)28,4583위
20.09%낙선
2유기홍(柳基洪)53,2062위
37.56%낙선
3김성식(金成植)54,4451위
38.43%당선
4이동영(李同英)4,2334위
2.99%낙선
5연시영(延是瑩)1,3255위
0.94%낙선
선거인 수235,005투표율
60.87%
투표 수143,054
무효표 수1,387
20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원영섭유기홍김성식
득표수
(득표율)
28,458
(20.09%)
53,206
(37.56%)
54,445
(38.43%)
- 1,239
(▼0.87)
143,054
(60.87%)
보라매동24.67%33.56%37.45%▼3.8956.42
은천동20.02%34.16%41.32%▼7.1660.17
성현동20.87%33.82%42.77%▼8.9563.92
중앙동17.58%36.70%42.03%▼5.3356.06
청림동21.56%35.93%40.30%▼4.3766.22
행운동19.00%40.20%37.18%△3.0260.25
청룡동18.15%38.41%39.34%▼0.9356.52
낙성대동16.73%40.31%38.49%△1.8260.82
인헌동20.04%37.56%38.68%▼1.1260.26
남현동24.88%36.64%35.59%△1.0559.39
신림동18.71%43.59%32.67%△10.9250.31
후보원영섭유기홍김성식격차
거소·선상투표27.71%26.84%40.69%▼12.98
관외사전투표18.29%44.36%31.89%△12.47
국외부재자투표14.55%57.38%20.90%△36.48
유기홍 vs 김성식 Round 4

서울대학교 77학번 동기 유기홍과 김성식의 4번째 대결이 열렸다. 서대문구 갑[4]에 버금간다[5][6]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19대 국회에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한 의원모임' 대표를 맡았고, 18대 대통령선거 민주통합당 문재인후보 교육특별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장 등 교육과 역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세월호대책특별위원회 제도개선팀장,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대변인 등을 지냈다.

김성식 전 의원은 19대 총선에서 낙선한 후 새누리당으로 복당하지 않았고, 18대 대선안철수 진심캠프에 공동선거대책본부장으로 합류했다. 안철수가 새정치연합을 창당할 때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다가, 민주당과 통합하기로 하자 합류를 거부했다. 그러나 안철수 의원이 탈당해 국민의당을 만들자 다시 합류했고, 국민의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새누리당에서는 이 지역을 청년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하여 38세의 원영섭 변호사를 공천하였다. 원영섭 후보는 2015년에 새누리당 법률자문 위원으로 위촉되었고 서울시당 공약개발단부단장으로도 일했다.

지난 19대 총선 때와는 달리 새누리당 후보도 출마한 상태라 김성식 후보의 표가 잠식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유기홍 후보도 지역에서 평가도 좋고 의정 활동도 열심히 해와서 누가봐도 유기홍 후보가 낙승할 거라고 전망했다. 어디가서 김성식 후보가 당선될 거라는 소리를 하면 폭풍같은 비웃음을 당할 정도.. 실제로 사전 여론조사에서는 김성식 후보가 유기홍 후보에게 거의 10%p 가까이 뒤지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전라도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전라도 출향민이 많은 관악구 갑 지역에서도 서서히 지지율이 올라갔고, 안철수 대표도 선거기간 막바지엔 거의 매일같이 지원을 왔다. 천정배 공동대표도 호남에서 올라와서 지원유세를 해줬고, 정치와는 거리를 둔 장하성 교수까지 지원유세를 해줄 정도로 사방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줬다. 손학규 전 대표는 직접 오지는 않았지만 지지 메시지도 보내고 동아시아미래재단 송태호 이사장을 보내서 지원유세를 해줬다.

이러한 지원들을 바탕으로 김성식 후보가 출구조사에서는 1.3%p정도 뒤지는 것으로 나왔지만 개표 과정에서 한 번도 역전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1,200여 표 차이로 당선됐다. 새누리당 원영섭 후보는 20%에 불과한 득표율을 얻었는데, 지역 내에서 인지도가 낮아 여권 지지층 일부가 본래 한나라당 출신이었던 김성식 후보에게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기적같은 승리.

동별로 따져보면 아파트촌이 대부분인 성현동과 은천동에서 김성식 후보가 큰 표차를 벌려나가며,[7] 비교적 주거환경이 열악한 동네에서의 경합세를 밀어냈다.

해당 선거 결과가 안철수 후보가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바랐던 구도이다.

2.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기홍(柳基洪)83,4791위
55.92%당선
2김대호(金大鎬)제명으로 인한
후보 등록 무효
3이승한(李承翰)2,7495위
1.84%낙선
6이동영(李同英)6,3063위
4.22%낙선
7권미성(權美成)3,4774위
2.32%낙선
8송명숙(宋名淑)2,2236위
1.58%낙선
9김용태(金龍泰)9477위
0.63%낙선
10김성식(金成植)50,0782위
33.55%낙선
선거인 수243,127투표율
66.6%
투표 수161,860
무효표 수12,601
21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유기홍김성식
득표수
(득표율)
83,479
(55.92%)
50,078
(33.55%)
+ 33,401
(△22.37)
161,860
(66.57%)
보라매동55.92%32.01%△23.9161.99
은천동54.62%34.38%△20.2464.53
성현동52.83%39.86%△12.9769.32
중앙동55.95%33.54%△22.4162.69
청림동51.95%39.90%△12.0571.29
행운동54.23%36.02%△18.2165.25
청룡동54.27%35.34%△19.9362.74
낙성대동54.59%35.47%△19.1265.20
인헌동54.86%35.73%△19.1366.15
남현동55.04%34.22%△20.8264.70
신림동62.27%23.80%38.4751.72
후보유기홍김성식격차
거소·선상투표62.62%24.76%△37.86
관외사전투표63.21%23.53%△39.68
국외부재자투표84.06%11.55%72.51
[4] 새누리당이성헌더불어민주당우상호, 역시 연세대학교 선후배로 긴밀하다. 총 6번의 대결로, 16대부터 19대까지 내리 네 번의 선거에서 붙어 두 번씩 나눠 먹었으며(...), 두 후보 다 20대 총선에서 패배하면 정계 은퇴까지도 불사하겠다고 말했을 정도. 그리고 20대,21회 총선에서 우상호 후보가 승리했다.[5] 그러나 서대문구 갑과의 차이점이라면 지역구 내에 라이벌 후보들의 출신 학교가 있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관악구 을 지역인 대학동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몇몇 서울대 캠퍼스의 부속 건물들(기숙사 등)과 일부 자취촌은 관악구 갑지역에 있기도 하다.[6] 21대 총선에서도 재격돌이 이뤄졌으나, 서대문구 갑에서 6번째 대결이 이뤄져 여전히 간격은 그대로이다.[7] 특히 성현동은 2012년 19대 총선에도 김성식이 앞선 지역이었다.
유기홍 vs 김성식 Round 5

바른미래당에선 현역 김성식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였으나, 2020년 2월 5일 바른미래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선언을 하였다. 본래 한나라당 출신인 점과, 제 3당과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보수성향의 표를 많이 가져온 만큼 무소속 출마 후 당선되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바른미래당의 후신인 민생당에서는 이승한 전 민주평화당 대변인을 공천 확정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유기홍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 박민규서울대학교 BK조교수, 권미성 전 서울시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그리고 경선 결과 유기홍 전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의 경우 20대 총선에서 20.1%를 받고 3위를 한 원영섭이 계속 당협을 맡으며 4년 내내 지역활동을 열심히 하나 싶더니 선거를 몇달 앞두고 뜬금없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갑으로 갔고, 대신 관악구의원 출신 임창빈이 자유한국당 관악갑 당협위원장을 맡고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정작 공천은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장이 받았으나, 이 후보의 30, 40대 비하 발언과 노인 비하 발언으로 인해 김대호 후보는 4월 9일 미래통합당에서 제명되었다.

김대호 제명으로 인한 후보 등록 무효에 따라, 유기홍 VS 김성식 양자 대결이 성사되었으며 사실상의 야권 단일화 효과를 누리게 되었다.[8] 참고로 유기홍김성식은 모두 서울대 77학번 동기이며, 이번 대결이 5번째이다. #

정의당에선 이동영 서울시당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며 공천이 확정되었다.

민중당에선 송명숙 연구위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우리공화당에서는 권미성 전 서울시의원의 공천을 확정지었다. 얼마 전까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음을 감안하면 의외다.#

선거 결과 유기홍 전 의원이 22%P, 3만 3천표의 큰 차이로 김성식 의원을 누르고 승리하여 상대전적에서 3:2로 우세를 점하고 국회로 귀환했다. 무효표가 1만2천 표를 넘어갔는데, 옆 동네 관악구 을의 무효표가 2천 표도 안 됐던 걸 감안하면 적지 않은 미래통합당 지지자들이 김성식으로 전략투표를 하느니[9] 김대호를 찍어 무효표를 만들기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10]

김성식은 1년 반이 지난 2021년 12월, 22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고, 유기홍도 경선 탈락하면서 이 대결이 둘 사이의 마지막 대결이 되었다.[11]


2.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관악구 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민규(朴珉奎)89,7781위
57.08%당선
2유종필(柳鍾珌)67,5032위
42.91%낙선
선거인 수242,617투표율
66.30%
투표 수160,858
무효표 수3,577
22대 총선 서울 관악구 갑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민규유종필
득표수
(득표율)
89,778
(57.08%)
67,503
(42.91%)
+22,275
(△14.17)
157,281
(66.3%)
보라매동56.58%43.41%△13.1761.92
은천동[12]56.63%43.36%△13.2764.95
성현동55.02%44.97%△10.0569.74
중앙동58.83%41.16%△17.6760.31
청림동53.77%46.23%△7.5472.75
행운동56.15%43.84%△12.3164.42
청룡동55.58%44.41%△11.1760.08
낙성대동[13]54.96%45.04%△9.9261.79
인헌동56.66%43.33%△13.3366.22
남현동52.44%47.55%4.8965.11
신림동59.05%40.94%△18.1149.01
후보박민규유종필격차
거소·선상투표52.15%47.84%△4.31
관외사전투표63.83%36.16%△27.67
재외투표72.00%28.00%△44.00
[8] 다만 김성식바른미래당의 내홍 당시 당권파 편을 들었고 패스트트랙에도 찬성하는 등 미래통합당 지지층이 거부감을 가질 요소가 꽤 있기 때문에 권미성 우리공화당 후보에게로 누수되거나 아예 기권하는 표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9]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후보가 당선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나마 당선 가능성이 있는 무소속 김성식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이다.[10] 미래통합당 지지자들 중 강성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은 무소속 김성식 후보에게 전략투표보다는 미래통합당 김대호 후보에게 투표해 무효표를 만든 유권자들이 많아보이며, 우리공화당 권미성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들도 제법 있어보인다. 중도 보수 성향을 비롯한 온건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은 무소속 김성식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인다.[11] 여담으로, 같은 후보의 재대결이 계속 일어났던 서대문구 갑도 각각 불출마 선언서대문구청장 당선으로 인해 마지막 대결이 되었다.[12] 박민규 후보의 고향[13] 서울대학교 소재지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후보박민규유종필격차
전체59.9%40.1%19.8%p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유기홍 의원이 4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박민규 전 서울대학교 BK조교수도 출마가 유력하다. 서윤기 전 서울시의원, 김기영 전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도 출마를 선언했다. 결국 유기홍 의원과 박민규 전 교수 간의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하기로 했다. 경선 결과 박민규 전 교수가 공천을 받게 되었다.

국민의힘에서는 재선 관악구청장을 지낸 유종필 전 구청장이 관악구 갑 당협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총선에 출마할 것으로 보였고 결국 단수 공천을 받았다.

선거 결과 박민규 후보가 57.08%(89,778표)로 42.91%(67,503표)의 유종필 후보를 22,275표 차로 앞지르고 관악구 갑 의원으로 당선되었다.